맨위로가기

조지아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아 정교회는 4세기에 국교로 지정된 유서 깊은 기독교 교회로, 조지아의 자치 정교회이다. 사도 안드레아를 비롯한 여러 사도들의 선교 활동을 기원으로 하며, 4세기 초 성 니노에 의해 기독교가 조지아에 전파되었다. 19세기 초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면서 자치권을 잃었으나,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독립을 회복하고 1943년 러시아 정교회, 199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자치 정교회로 승인받았다. 20세기 공산주의 정권의 탄압을 받았으나 소련 붕괴 이후 부흥했다. 현재 전 조지아의 카톨리코스-총대주교는 일리아 2세이며, 2009년 압하지야 정교회가 독립을 선언했다. 조지아 정교회는 성 시노드에 의해 운영되며, 총대주교를 포함한 38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지아 인구의 대다수가 조지아 정교회 신자이며, 2012년 기준 35개 교구, 약 600개의 교회, 730명의 사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정교회의 독립 교회 - 루마니아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는 14세기에 설립된 수도대주교구에서 시작하여 20세기에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로부터 독립했으며, 루마니아어로 예배를 드리고 1925년 여러 교회를 통합하여 콘스탄티노플 정교회 본부의 승인을 받아 현재 주교구, 신학대학, 신학교, 수도원 등을 운영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도원을 보유하고 공산주의 시대와 현대적 이슈들을 겪고 있는 루마니아의 정교회 교회이다.
  • 동방 정교회의 독립 교회 - 세르비아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및 전 세계 세르비아계 공동체의 신자를 둔 유서 깊은 동방 정교회로, 1219년 독립을 인정받고 1346년 총대주교구로 승격되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 정신적 통합 유지 및 세르비아 문화와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조지아 정교회
지도
기본 정보
이름조지아 사도 교회
로마자 표기Sak'art'velos Samoc'ik'ulo Avt'ok'epaluri Mart'lmadidebeli Ek'lesia
영어 이름Georgian Apostolic Autocephalous Orthodox Church
설립자안드레아 (콜키스); 성녀 니노, 미리안 3세 (이베리아)
주요 분류동방 정교회
성경칠십인역, 신약성경
신학동방 정교회 신학, 팔라마주의
정치 체제주교제
주요 언어조지아어
본부트빌리시, 조지아
관할 지역조지아
해외 관할 지역서유럽, 러시아, 터키, 아제르바이잔, 오스트레일리아, 아르메니아
독립안티오키아 교회로부터 467-491년 사이와 1010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1917년, 1943년
독립 인정안티오키아 교회로부터 점진적으로 자치권 수여 및 대부분 교회에서 인정 (467-491년 사이와 1010년). 러시아 정교회에서 1811년 자치권 폐지, 1917년 부분적으로 복원, 1943년 완전 복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서 1990년 인정.
분리압하지야 정교회 (2009)
신자 수350만 명 (2011년)
공식 웹사이트www.patriarchate.ge
지도자
수장이리아 2세
기타
전례 언어조지아어
성가 전통조지아 성가
달력율리우스력
성 니노
조지아의 광채자 성 니노의 이콘. 왼손에는 복음경, 오른손에는 포도 십자가를 들고 있다.
조지아 정교회 문장
조지아 정교회의 문장

2. 역사

조지아 정교회는 4세기국교로 지정된 역사가 긴 교회이다. 전승에 따르면, 사도 안드레아가 1세기에 코카서스 지방(고대 콜키스, 이베리아)에 처음으로 선교를 했다고 전해진다. 다른 전승에는 열심당원 시몬이 코카서스를 여행하여 조지아 서부에 선교하고 소후미(Sokhumi) 근처 코마니(Comani) 마을에 매장되었다고 한다. 사도 마티아가 조지아 남서부에 선교하여 바투미 근교 고니오(Gonio) 마을에 매장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7] 사도 바르톨로메오와 사도 유다 다대오가 조지아에 왔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사료에 의하면, 성 니노와 계몽자 그레고리오스에 의해 4세기 전반에 대규모 선교가 이루어졌다. 4세기에 자치 정교회 지위를 얻었으나, 19세기 초 조지아가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면서 그 지위가 박탈되고 러시아 정교회에 편입되어 조지아 엑자르크 직위가 설치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조지아 정교회는 독립을 회복했고, 1943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199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자치 정교회로 승인받았다.

러시아 정교회, 알바니아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20세기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탄압받았지만,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부흥했다. 현재 총대주교는 전 조지아의 카톨리코스-총대주교이자 무츠헤타와 트빌리시대주교일리아 2세이다.

2009년, 압하지야 정교회는 독립 교회임을 선언했다.[50]

2. 1. 초기 기독교 전래와 발전

한 전승에 의하면, 사도 안드레아가 캅카스 지역의 고대 조지아(콜키스와 이베리아)에 처음으로 복음을 전했고, 최초의 기독교 공동체를 설립했다고 한다. 또 다른 전승에 의하면, 사도 시몬이 조지아에 복음을 전했고, 아나코피아에 묻혔다고 한다. 사도 마티아의 무덤이 고니오에 있다는 설이 있다.[7] 그러나 현대 역사학은 이러한 기록을 신화적이며 9세기 비잔티움의 동방 기독교에서 안드레아의 여정에 대한 전설에서 유래한 후대 전통의 산물로 간주한다.[8]

카파도키아의 성 니노, 조지아인들의 세례자


4세기 초중반 무렵 미리안 3세 통치 시대에 카르틀리 왕국(동조지아 또는 이베리아)의 카파도키아 왕실의 공주였던 성녀 니노의 활발한 선교 활동으로 대다수의 조지아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완전히 국교로 자리를 잡았다. 키릴 투마노프는 미리안의 개종을 334년으로, 그의 공식적인 세례와 이베리아의 공식 종교로 기독교를 채택한 것을 337년으로 추정한다.[9] 서조지아는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점진적으로 기독교가 전래되어 5세기 중후반 무렵에는 동로마 제국의 제노 황제(474–491)로부터 독립 자치 교회의 지위를 인정받아 완전한 기독교 왕국이 되었다.

성 야고보예루살렘 전례카르틀리에서 유명했고, 처음에는 그리스어였지만, 6세기경에 조지아어로 전례를 거행했다. 서조지아에서는 8세기 또는 9세기에 그리스어 비잔티움 전례를 조지아어로 번역하여 진행하였다. 1008년에 동조지아와 서조지아가 서로 결합하여 단일 왕국과 독립 자치 교회가 성립된 뒤에 동조지아는 곧바로 비잔티움 전례를 채택하였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조지아는 안티오키아 사도좌의 성직 형태를 유지했다고 한다.[62] 카르틀리의 교회는 처음에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에 의지하고 있었지만, 467년에 바흐탕 고르가슬란 왕에 의하여 독립 교회가 수립되었다. 조지아 교회의 칼케돈 공의회로의 입회와 그리스도론의 정의가 아르메니아 교회와의 친밀한 관계와 비잔티움 제국에 속한 공의회인지를 두고 벌어진 논쟁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연되었다. 6세기 말에, 조지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의 편에 들기 시작했고,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따르기로 했다. 조지아와 아르메니아는 607년 제3차 드빈 공의회에서 명확하게 갈라졌다. 칼케돈과 칼케돈을 지원하는 조지아의 비난을 옹호하는 아브라함이 아르메니아 자치 교회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

수도원 제도는 조지아에서 6세기에 융성하기 시작했고 10~12세기에 정점에 달했다. 수도원들은 선교와 문화 활동의 중요한 중심지들이 되었다. 조지아는 10세기 후반에 아토스산이비론 수도원을 설립했다. 그 수도원에서 많은 중요한 종교 작품들이 그리스어에서 조지아어로 번역되었다.

2. 2. 중세 시대

4세기 초중반 이베리아의 미리안 3세 통치 시기에 카르틀리 왕국(동조지아 또는 이베리아)의 카파도키아 왕실 공주였던 성녀 니노의 선교 활동으로 대다수 조지아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하여 국교로 완전히 자리 잡았다. 서조지아는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어 점진적으로 기독교가 전래되었고, 5세기 중후반 제노 황제(474–491)로부터 독립 자치 교회의 지위를 인정받아 완전한 기독교 왕국이 되었다.

성 야고보예루살렘 전례카르틀리에서 처음에는 그리스어였지만, 6세기경 조지아어로 거행되었다. 서조지아에서는 8세기 또는 9세기에 그리스어 비잔티움 전례를 조지아어로 번역하여 진행하였다. 1008년 동조지아와 서조지아가 결합하여 단일 왕국과 독립 자치 교회가 성립된 후 동조지아는 곧바로 비잔티움 전례를 채택하였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조지아는 안티오키아 사도좌의 성직 형태를 유지했다.[62] 카르틀리 교회는 처음에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에 의지했지만, 467년 바흐탕 고르가슬란 왕에 의해 독립 교회가 수립되었다. 조지아 교회의 칼케돈 공의회로의 입회와 그리스도론의 정의는 아르메니아 교회와의 관계, 비잔티움 제국에 속한 공의회 문제 등으로 논쟁이 벌어져 부분적으로 지연되었다. 6세기 말, 조지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편에 서서 칼케톤 공의회 결정을 따르기로 했다. 조지아와 아르메니아는 607년 제3차 드빈 공의회에서 명확히 갈라졌고, 아브라함이 아르메니아 자치 교회 총대주교로 선출되어 칼케돈과 칼케돈을 지원하는 조지아를 비난했다.

수도원 제도는 조지아에서 6세기에 융성하기 시작해 10~12세기에 정점에 달했다. 수도원들은 선교와 문화 활동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조지아는 10세기 후반 아토스산이비론 수도원을 설립하여 그리스어 종교 작품들을 조지아어로 번역하고 예루살렘, 시나이산 수도원들과 교섭했다.

11~13세기 조지아는 조지아어 기독교 문학이 발전하며 황금 시대를 겪었으나, 13세기 징기스칸과 15세기 타메를란의 침입으로 황폐화되었다. 1500~1800년 조지아는 오스만페르시아 간 경쟁으로 문화 르네상스를 겪었고, 이후 서유럽,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켰다.

13세기 조지아 중세 시대 장식된 사본인 모크비 복음서


11세기부터 13세기 초까지 조지아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황금기를 경험했다. 바그라티온 왕조가 서부와 동부 지역을 왕국으로 통합했기 때문이다. 왕들은 교회의 권위에 의존하여 교회에 경제적 이점, 세금 면제, 광대한 영지를 부여해 정치적 지지를 확보했다.[34] 건설자 다비드(1089–1125) 왕은 국가 권력으로 교회 문제에 개입, 1103년 루이시-우르브니시 공의회를 소집하여 아르메니아 미아피시즘을 비난하고, 조지 오브 츠콘디디에게 총대주교 다음가는 권력을 부여했다. 이후 교회는 중요한 봉건 제도로서 경제적, 정치적 힘이 주요 귀족 가문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었다.

12세기 희귀한 겔라티 복음서의 한 페이지(성탄 장면 묘사)


중세 시대 기독교는 조지아 문화의 중심이었다. 조지아어 서면 문화 발전은 복음 전파 목적의 조지아 알파벳 창제로 가능해졌다. 수도 생활은 문화 변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6세기 13인의 아시리아 교부들이 이베리아에 정착, 다비드 가레자 등 수도원을 세우며 조지아 수도 생활이 시작되었다.[35] 이후 "성 니노의 생애", "성녀 수사니크의 순교" 등 조지아어 전기 문학 작품들이 만들어졌다. 조지아 수도 생활 황금기는 9세기부터 11세기까지로, 시나이 산, 아토스 산(이베론 수도원, 이베르스카야 성모 이콘 소장), 팔레스타인에 수도원들이 세워졌다.[36] 칸드즈타의 그레고리(759~861)는 타오-클라르제티에 여러 공동체를 설립한 중요한 인물이다.

카쿠훌리 삼폭화


조지아에서는 서예, 다성 교회 성가, 클로이종네 에나멜 이콘(카쿠훌리 삼폭화 등), "조지아 십자가 돔 양식" 건축 등 종교적 예술이 발전했다. 쿠타이시 겔라티 수도원, 바그라티 대성당, 이칼토 수도원 단지와 아카데미, 므츠헤타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 등이 대표적 종교 건축 예시이다.

이베리아의 베드로(5세기),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955~1028), 아토스의 조지(1009~1065), 아르센 이칼토엘리(11세기), 에프렘 므치레(11세기) 등이 대표적 기독교 문화 인물이다. 요아네 페트리치는 겔라티 수도원 아카데미에서 기독교,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신플라톤주의를 종합하려 시도했다.[37]

2. 3. 근세 시대

1500~1800년 시대에 조지아는 오스만 제국페르시아 제국 간의 경쟁으로 인해 문화적 르네상스를 겪었다. 그 후 조지아는 서유럽러시아와 새롭게 밀접한 관계를 발전시켰다.[40]

13세기 몽골의 조지아 침략과 14~15세기 티무르의 조지아 침략은 조지아 기독교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 왕국의 정치적 통일은 여러 차례 깨졌고, 1460년대에는 확실하게 붕괴되었다. 많은 보물을 소장하고 있던 교회와 수도원들은 침략자들의 표적이 되었다. 이러한 파괴의 결과로 많은 교회와 수도원들이 훼손되거나 버려졌다.[38]

조지아 서부에서는 몽골 지배 이후 압하지아 가톨릭총대주교구가 설립되었다. 왕국이 붕괴되면서 므츠헤타의 주교좌에서 분리되었고, 서부 가톨리코스는 그 이후로 총대주교 칭호를 사용했다. 처음에는 피츠운다에, 그 후에는 쿠타이시 근처의 겔라티 수도원에 자리 잡았던 이 경쟁 주교좌는 1795년까지 존속했다.[39]

그 후 몇 세기 동안, 약화되고 분열된 조지아는 오스만 제국과 연이은 페르시아 (사파비 왕조, 아프샤르 왕조, 카자르 왕조) 제국들의 지배를 받았다. 대부분 오스만 제국이 서부를, 페르시아가 동부를 지배했지만, 일반적으로 그들의 통제하에 자치적인 조지아 왕국들이 존속하도록 허용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조지아 기독교인들은 무슬림에 대항하는 전통적인 구제책을 잃고 스스로 남겨졌다.

각 침략 이후 교회는 새로운 순교자들을 시성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은 케테반 여왕이다. 그녀는 1624년 페르시아의 압바스 1세(샤-압바스)의 명령에 따라 기독교를 버리기를 거부하여 고문을 받아 사망했다. 그러나 카르틀리와 카헤티의 왕족 모두가 교회에 그렇게 충실했던 것은 아니다. 페르시아의 총애를 얻고 형제들보다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많은 왕족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카르틀리의 다비드 11세(다우드 칸)와 같이 개종한 척했다. 술한-사바 오르벨리아니와 같은 다른 귀족들은 선교사들이 1700년경 조지아에 인쇄술과 서구 문화를 전파함에 따라 약화된 지역 교회를 떠나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18세기 동안 강력한 정교회 세력인 러시아 제국의 등장만이 엘리트들 사이에서 교회의 지위와 위신을 강화할 수 있었고, 공유된 정교회는 조지아를 무슬림 지배에서 해방하기 위한 러시아의 개입 요구에 강력한 요소가 되었다.[40]

2. 4. 현대

소비에트 연방 통치 시기, 조지아 정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와 비슷한 쇠퇴 현상을 겪었다. 1917년 조지아에 2,455곳의 성당이 있었으나, 1980년대 중반에는 80곳의 성당과 수도원, 4~5곳의 신학교만 운영되었다. 조지아 정교회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의 지시를 따라야 했다.[40][41][42]

그러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일리아 2세 총대주교의 지도력으로 조지아 교회는 부활했다. 1988년 10월 1일, 트빌리시에 신학교가 개교했으며, 현재는 전국에 6곳의 신학교와 평신도 육성 시설이 있다. 각 교구에는 교리교사 교육 부서가 있고, 국내 선교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1990년 3월 4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조지아 정교회에 독립 교회 지위를 부여했다. 이는 모스크바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간의 오랜 논쟁 끝에 이루어진 결정으로, 정교회 세계에서 조지아 교회의 위상을 확립했다.[43]

1992년 조지아 독립 후, 교회 쇄신은 더욱 강화되었다. 성직자 수가 늘고, 수도원 생활이 재개되었으며, 많은 성당이 새로 세워졌다.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대통령은 조지아 정교회 신자로, 교회의 역할 증대를 상징했다. 1994년, 조지아 정교회와 정부는 공립 학교 종교 수업 협약을 체결했다. 1996년에는 트빌리시 성 삼위일체 대성당이 착공되어 2004년 봉헌되었다.

1995년 11월, 조지아 정교회 회의에서는 교회의 사목과 영적 쇄신을 위한 결정이 있었다. 다섯 명의 시성 운동도 결정되었다.

199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조지아를 방문하여 셰바르드나제 대통령, 일리아 2세 총대주교와 회담했다. 그러나 2003년, 조지아 정부와 바티칸 시국 간의 합의는 조지아 정교회의 반대로 실패했다.

2002년 10월 14일, 조지아 정교회와 정부는 정교 조약을 체결하여 정교회의 특권, 정부와의 관계, 성직자와 교회의 권리 등을 명시했다.

2003년 11월, 셰바르드나제에 대항한 시위가 일어났고, 일리아 총대주교의 중재로 무력 사용 없이 평화적으로 해결되었다. 현재 조지아 교회는 서구 사회 통합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조지아 인구의 80% 이상인 440만 명 이상이 조지아 정교회 신자이다. 2006년 기준, 30개 교구, 1004명의 사제, 65곳의 수도원이 있다.

2. 5. 현대 조지아 정교회

소비에트 연방 통치 시절, 조지아 정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와 비슷하게 쇠퇴했다. 1917년 2,455곳이었던 성당은 1980년대 중반에는 80곳의 성당과 수도원, 4~5곳의 신학교만 운영될 정도로 줄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의 지시를 따라야 했다.[44][45]

그러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일리아 2세 총대주교의 지도력으로 조지아 교회는 다시 살아났다. 많은 성당이 다시 문을 열었고, 1988년 10월 1일에는 트빌리시에 신학교가 개교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6곳의 신학교와 평신도 육성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각 교구에는 교리교사 교육 부서와 국내 선교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1990년 3월 4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조지아 정교회에 독립 교회 지위를 부여했고, 이는 조지아 정교회 총대주교 임명으로 분명해졌다. 이전에는 조지아 정교회의 독립권이 모스크바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간의 논쟁 대상이었으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결정으로 조지아 교회의 위치가 정립되었다.

1992년 소련 해체 이후 조지아의 독립과 함께 교회의 쇄신은 더욱 강화되었다. 성직자 수가 늘고 수도원 생활이 재개되었으며, 많은 성당이 새로 세워졌다.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대통령은 1992년 조지아 정교회에서 세례를 받으며 교회의 역할 증대를 상징했다. 1994년에는 공립 학교에서 조지아 교회와 연계한 종교 수업을 하도록 하는 협약이 체결되었다. 1996년 3월에는 트빌리시 성 삼위일체 대성당이 착공되어 2004년 11월에 봉헌되었다.

1995년 11월, 조지아 정교회의가 열려 교회의 사목과 영적 쇄신을 위한 결정들이 있었다. 다섯 위의 시성 운동 또한 결정되었다.

199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조지아를 방문하여 셰바르드나제 대통령, 일리아 2세 총대주교와 회담했다. 2003년 9월, 조지아 정부와 바티칸 시국 간의 합의는 조지아 정교회의 반대로 실패했다.

2002년 10월 14일, 조지아 정교회와 정부는 정교 조약에 서명하여 정교회의 특권, 정부와의 관계, 사회에서 성직자와 교회의 권리 등을 명시했다.

2003년 11월, 셰바르드나제에 대항한 시위는 일리아 총대주교의 중재로 폭력 없이 해결되었다. 현재 조지아 교회는 서구 사회로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2006년 기준, 조지아 인구의 80% 이상인 440만 명 이상이 자신을 조지아 정교회 신자로 인식하고 있다. 조지아 정교회는 30개의 교구, 1004명의 지역 교구 사제, 65곳의 수도원을 공식 보고했다.

2010년 기준 조지아 사도 자치 정교회의 교구


독립 이후 많은 교회와 수도원이 재건 또는 개축되었으며, 국가나 부유한 개인의 도움을 받았다. 독립 이후 세 명의 조지아 대통령과 모두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에큐메니즘 운동 참여를 둘러싸고 교회 내부에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일리아 2세 총대주교는 이 운동을 지지했지만, 1997년 주요 승려들의 반대로 국제 에큐메니즘 단체 참여를 철회했다. 개신교 선교 활동에 대한 반대는 현대 조지아에서 여전히 강력하며, 심지어 폭력 사태로 이어지기도 했다.[49] 아브카지아의 분리주의는 교회에도 영향을 미쳐, 2009년 수후미 교구가 조지아 정교회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아브카지아 정교회를 결성한다고 선포했지만, 다른 정교회 당국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50] 이웃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와의 관계도 독립 이후, 특히 교회 소유권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불안정했다.[51] 2002년 인구 조사에서 조지아 인구의 83.9%가 자신을 정교회 신자라고 밝혔다.[52] 2002년에는 조지아 정교회 내에 35개 교구와 약 600개의 교회가 있으며, 730명의 사제가 사역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조지아 정교회는 조지아 내에 약 360만 명의 신자가 있다.[53][54]

3. 조지아의 종교 인구

종교비율
조지아 정교회83.9%
무슬림9.9%
아르메니아-조지아 정교회3.9%
로마 가톨릭0.8%
기타 종교0.8%
무종교0.7%

[63]

4. 구조

조지아 정교회는 동방 정교회의 일원으로, 세례와 성체성사(성체례)를 포함한 모든 성사가 동방 정교회 전체에서 유효하다.[54]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와 같이 특정 교회의 명칭은 조직 구조를 나타낼 뿐, 신앙의 대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러시아 정교를 믿는다"거나 "조지아 정교를 믿는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54]

조지아 정교회는 다른 여러 자치 정교회 및 자주 관리 교회와 함께 동방 정교회 공동체를 구성한다. 조지아 정교회를 포함한 자치 정교회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일부로부터 승인을 받은 자치 정교회와 자주 관리 교회들이 있다.

4. 1. 성 시노드

조지아 정교회는 전 조지아의 총대주교 및 가톨리코스가 이끄는 성 시노드에 의해 운영된다. 성 시노드는 교회 주교들의 집단 기구이다. 총대주교 외에도 시노드는 25명의 대주교, 5명의 상급 주교, 7명의 일반 주교를 포함하여 38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된다. 2012년 기준으로 다음 주교들이 계층적 순서대로 성 시노드 구성원이었다.[55]

이름직책
칼리스트라토스(마르갈리타슈빌리)쿠타이시 및 겔라티 대주교
다니엘(다투슈빌리)치아투라 및 사크헤레 대주교
아브라함(가르멜리아)서유럽 대주교
타데오스(이오람아슈빌리)티아네티 및 프샤브-헤브수레티 대주교
아나니아(자파리제)망글리시 및 찰카 대주교
바흐탕(아흐블레다니)마르그베티 및 우비시 대주교
조시마스(시오슈빌리)찔카니 및 두셰티 대주교
기오르기(샬람베리제)트키불리 및 테르졸라 대주교
욥(아키아슈빌리)우르브니시 및 루이시 대주교
다윗(마하라제)알라베르디 대주교
세르기우스(체쿠리슈빌리)네크레시 대주교
요셉(키크바제)셰모크메디 대주교
이사야(찬투리아)니코지 및 츠힌발리 대주교
세라핌(조주아)보르조미 및 바쿠리아니 대주교
엘리세(조카제)니코르츠민다 대주교
그리고리(베르비차슈빌리)포티호비 대주교
니콜로즈(파추아슈빌리)아할칼라키 및 쿠무르도 대주교
테오도르(추아제)아할츠칼레 및 타오-클라르제티 대주교
사바(가기베리아)호니삼트레디아 대주교
디미트리(시오라슈빌리)바투미, 라제티, 북아메리카캐나다 대주교
안톤(불루히야)바니 및 바그다티 대주교
게라시모스(샤라셰니제)주그디디 및 차이시 대주교
안드리아(그바자바)삼타비시 및 고리 대주교
페트레(차아바)촌콘디디 및 마르트빌리 대주교
시오(무지리)세나키, 츠호로츠쿠 및 오스트레일리아 대주교
스테판(칼라이지슈빌리)차게리 및 렌테히 상급 주교
다윗(티카라제)보드베 상급 주교
이에구디엘(타바타제)스테판츠민다 및 헤비 상급 주교
요아네(감레켈리)루스타비 및 마르네울리 상급 주교
제논(이아라주리)드마니시, 아가락-타쉬르, 영국아일랜드 상급 주교
일라리온(키티아슈빌리)메스티아 및 상부 스바네티 주교
유티모스(레자바)구르자니 및 벨리스치헤 주교
루카(로미제)니노츠민다 및 사가레조 주교
스피리돈(아불라제)스칼타 주교
에프렘(감레켈리제)볼니시 주교
멜키세덱(카치제)데도플리스차로 및 헤레티 주교
야곱(야코비슈빌리)가르다바니 및 마르트코피 주교
스비메온(차카슈빌리)수라미 및 카슈리 주교


4. 2. 전 조지아의 가톨리코스-총대주교

조지아 교회의 총대주교로서 총대주교 칭호를 처음 사용한 인물은 멜키세덱 1세(1010–1033)였다. 1977년부터 일리아 2세(1933년생)가 전 조지아의 총대주교이자 므츠헤타트빌리시의 대주교로 봉직하고 있다. 1917년 교회가 자치권을 회복한 이후 총대주교 목록은 다음과 같다.[56]

이름재임 기간
키리온 2세1917년–1918년
레오니드1918년–1921년
암브로시우스1921년–1927년
크리스토포루스 3세1927년–1932년
칼리스트라투스1932년–1952년
멜키세덱 3세1952년–1960년
에프라임 2세1960년–1972년
다윗 5세1972년–1977년
일리아 2세1977년–현재


참조

[1] 웹사이트 Turkey remains on religious freedom "Watch List" http://www.archons.o[...] Archons of the Ecumenical Patriarchate 2010-04-29
[2] 서적 The Orthodox Church: Its Past and Its Role in the World Today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6
[3] 웹사이트 A Retrospective on the 1921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Georgia http://www.fed-soc.o[...]
[4] 뉴스 Georgia's mighty Orthodox Church https://www.bbc.com/[...] 2013-07-02
[5] 뉴스 The Georgian Orthodox Church and its Involvement in National Politics http://www.cacianaly[...] 2014-08-14
[6] 뉴스 Russia: Sochi Bets on Becoming the Black Sea Monte Carlo http://www.eurasiane[...] 2014-11-21
[7] 웹사이트 Patriarchate of Georgia – Official web-site http://www.patriarch[...]
[8] 논문
[9] 논문
[10] 웹사이트 GEORGIA iii. Iranian elements in Georgian art and archeology http://www.iranicaon[...]
[11]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서적 The Eastern Christian Churches: A Brief Survey
[16] 웹사이트 Georgian Orthodox church Christianity https://www.britanni[...]
[17] 뉴스 Le patriarche de Géorgie émissaire de son pays auprès de Vladimir Poutine https://www.la-croix[...] 2013-01-24
[18] 웹사이트 Géorgie: Eglise et Etat, vers un conflit inévitable? – Religioscope https://www.religion[...]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학술지 Key Aspects of Georgian Orthodox Church's Autocephaly http://vb.vpba.edu.u[...] 2019-10-01
[45] 웹사이트 The Case of Georgian Autocephaly https://orthodoxsyna[...] 2018-12-31
[4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Georgia – Official English translation http://www.parliamen[...]
[47] 웹사이트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საპატრიარქოს ოფიციალური ვებ-გვერდი http://www.patriarch[...] 2015-03-05
[48]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patriarch[...] 2015-03-29
[49] 논문
[50]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Respects' Georgian Church Authority over Abkhazia, S.Ossetia http://www.civil.ge/[...] 2015-03-05
[51] 웹사이트 Armenia: Property Disputes Fueling Church Tension between Yerevan and Tbilisi http://www.eurasiane[...] 2015-03-05
[52] 웹사이트 2002 census results – p. 132 http://www.geostat.g[...] 2012-05-21
[53] 논문
[54] 웹사이트 CNEWA United States – The Orthodox Church of Georgia http://www.cnewa.us/[...] Cnewa.us 2007-06-19
[55] 웹사이트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საპატრიარქოს ოფიციალური ვებ-გვერდი http://www.patriarch[...] 2015-03-05
[56] 웹사이트 Leaders of Georgian Church http://www.patriarch[...] 2012-07-24
[57]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58]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59]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60]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61] 웹사이트 OCA - Q&A - Greek Orthodox and Russian Orthodox http://oca.org/quest[...]
[62] 웹사이트 Georgian Orthodox church http://www.britannic[...]
[63] 웹인용 http://www.nationmaster.com/country/gg-georgia/rel-religion http://www.nationmas[...] 2010-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